사진에 입문하게 되면 여러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듣는 내용이 바로 노출의 3요소인 셔터스피드, 조리개 그리고 ISO입니다. 다양한 셔터스피드 설정을 통해 사진의 밝기를 조절하기도 하고 피사체의 동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의 원리와 어떤 사진을 위해 이 설정을 조절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셔터스피드란?
카메라의 촬영 버튼을 누르게 되면 먼저 셔터가 열려 렌즈를 통과한 빛이 센서에 노출되게 합니다. 이후에 다시 셔터가 닫히고 더 이상의 빛이 센서에 닿지 않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셔터스피드는 사진 촬영 시 카메라 셔터(카메라 센서 앞에 있는 커튼)가 열려 센서에 빛을 노출시키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카메라가 사진을 찍는 데 걸리는 시간이기도 하죠.
셔터스피드는 일반적으로 초 단위로 표현됩니다. 1초 미만인 경우는 1/1000초, 1/300초, 1/25초 등의 값으로 표기됩니다. 대부분의 최신 DSLR 및 미러리스 카메라는 셔터 속도를 1/4000초까지 설정해서 빠르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고급 기종들은 1/8000초 까지도 빠른 셔터스피드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사용 가능한 가장 긴 셔터스피드는 30초입니다. 더욱 긴 셔터스피드를 원할 경우에는 외부 원격 트리거를 사용하면 됩니다.
셔터스피드의 역할은?
- 노출 조절: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셔터스피드 설정으로 노출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설정하면 더욱 적은 양의 빛이 이미지 센서에 닿아 사진은 어둡게 됩니다.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설정하면 빠르게 설정할 때 보다 더 많은 양의 빛이 이미지 센서에 닿아 사진은 밝게 됩니다.
- 동작 표현: 다양한 셔터스피드는 피사체의 동작과 움직임을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를 빠르게 설정하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정지화면처럼 잡아낼 수 있어 스포츠 사진이나 액션이 많은 장면의 사진을 흔들림 없이 촬영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계곡 폭포와 같은 물의 흐름을 느린 셔터스피드로 촬영할 경우 유동적인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사진 흔들림 방지: 어두운 환경에서 사진촬영을 진행할 때 사진이 흔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자동으로 셔터스피드를 설정하기보다는 평소보다 더 빠른 셔터스피드로 촬영하면 또렷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은 더욱 어두워지기 때문에 조리개나 ISO로 노출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 카메라에는 내장 손떨림방지 기술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 기능을 꼭 사용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어두운 사진은 후보정으로 어느 정도 밝게 만들 수 있지만 흔들린 사진은 살려내기가 쉽지 않으니까요.
셔터스피드 설정은 어떻게 할까?
카메라를 Auto 모드로 놓고 촬영을 진행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셔터스피드를 설정해 촬영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셔터스피드를 수동으로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먼저 셔터 우선 모드로 설정하거나 Manual 모드로 설정하면 필요한 셔터스피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셔터 우선 모드로 설정하게 될 경우 보통 조리개와 ISO는 자동으로 설정이 되며 Manual 모드는 조리개와 ISO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카메라는 자동으로 적절한 셔터스피드를 선택해 주니 특별히 모션블러를 컨트롤을 해야 할 경우에만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카메라 셔터스피드는 카메라 디스플레이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상단 패널이 있는 카메라에서는 셔터스피드가 일반적으로 상단 모서리에 표기됩니다. 상단 패널이 없는 DLSR이나 미러리스 카메라 경우에는 후면 화면에서 셔터스피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가 1초이거나 이보다 길 경우는 1" 또는 3"과 같이 표기됩니다. 이와 같이 여러 셔터스피드로 설정해 촬영해 보면 느리게 찍어야 할지, 빠르게 찍어야 할지에 대한 선택을 어렵지 않게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노출의 3대 요소: 3. ISO (2) | 2023.06.16 |
---|---|
사진 노출의 3대 요소: 2. 조리개 (4) | 2023.06.02 |
사진의 기초 1-4: 카메라 기본 설정 (14) | 2023.03.08 |
사진의 기초 1-3: 사진촬영 기본 장비 (27) | 2023.03.01 |
사진의 기초 1-2: 사진 역사에 빼놓을 수 없는 인물들 (18) | 2023.02.25 |